2025년도에 고등학생들의 설문조사와 고등학생들의 선호도 데이터를 종합하여 정리한 2026년도 대학 인기학과 순위를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의예과/치의예과
전국적으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, 서울대·연세대·고려대 등 주요 대학에서 최상위권 학과로 꼽힙니다.
취업률 80% 이상, 졸업 후 의사 면허 취득으로 안정적인 직업 선택이 가능합니다.
2. 약학과, 간호학과
서울, 연고대 등 약학과는 의대, 치대 등의 전공 다음으로 인기 있는 학과이며, 약사 자격증 및 제약, 연구직 및 약국을 개업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.
3. 컴퓨터공학과
공대 계열에서 인기 상승 중이며, AI·빅데이터·소프트웨어 개발 등 첨단 기술 분야와 연계됩니다.
취업률 60% 이상, IT 산업 성장에 따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
또한, 엔비디아, 마이크로소프트, 구글, 애플, 테슬라, 메타 등의 글로벌 기업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학과입니다.
4.전기, 전자공학과
제조업·로봇공학·자동차 산업 등 전통적 공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입니다.
취업률 60% 이상, 기계 설계·제조·연구 분야에서 폭넓은 기회를 제공합니다. 컴공과 와 더불어 글로벌 IT회사에 취업이 가능한 학과이기도 합니다.
5. 경영, 경제학과
문과 계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학과로, 서울대·연세대·고려대 모두 커트라인 점수가 높습니다.
취업률 60% 이상, 기업·금융·공공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높습니다.
6. 생명공학과/화학공학과
바이오·환경·에너지 분야와 연계된 실용 학문으로, 취업률 60% 이상입니다.
의학·약학·화학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.
서울 상위권 대학의 생명공학과를 졸업한다면 삼성바이오로직스, 셀트리온 등의 바이오 회사와 국내 굴지의 제약회사에 취업이 거의 보장된 학과이기도 합니다.
<고교생 본인 희망 전공 선호도>에 따르면 **간호학과·경영학과(각 5.6%)**가 공동 1위, 이어 컴퓨터공학과(4.9%), 생명공학과(3.6%) 순으로 나타나기도 하였습니다.
공학 계열(전기전자, 생명·화학공학)과 경제·경영 계열도 취업 시장 수요와 맞물려 강한 선호도를 보였으며, 신문방송학과와 같은 언론·미디어 계열도 특히 여학생 등 일부 그룹에서 강한 선호를 보임
1) 취업률 : 취업률이 높은 학과 순위입니다.
- 의예과(80% 이상), 경영학과(60% 이상), 컴퓨터공학과, 생명공학과(60% 이상) 등이 상위권입니다.
2) 변동 추세 : 2020년대 이후 AI·데이터사이언스 등 첨단 학과가 급부상하고 있으며, 의학계열은 여전히 압도적입니다.
3) 대학별 차이 : 전형 방식(예: 내신 반영 과목)에 따라 같은 성적이라도 합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부동의 1위는 서울대학교로, 서울대 졸업생이면 국내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면서, 취업은 보장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, 어떤 고등학생들이든지 가장 가고 싶어 하는 대학입니다.
그럼, 한국 대학교들의 세계 순위를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서울대학교 (SNU)
- 국내 1위, 세계 62위 유지
- 세계 100위 내 한국 대학 중 유일한 학교로, 연구 질·국제화·교류 측면에서 높은 평가
2. KAIST
- 국내 2위, 세계 82위
- 공학·과학 분야에서 꾸준히 실력 상승 중이며, 연구 역량과 산업 연계에서 강점을 보임
3. 연세대학교 & 성균관대학교
- 공동 국내 3위, 세계 102위
- 특히 경영·사회과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, 성균관은 급상승세 중
4. POSTECH
- 국내 5위, 세계 151위
- 이공계 특성화 대학으로 연구집중도와 학문평판에서 높은 평가
5. 고려대학교
- 국내 6위, 세계 189위
- 종합대학으로서 다양한 전공에서 균형 잡힌 성과. 비즈니스스쿨(KUBS)은 글로벌 인증 보유
6. 그 외 주요 대학
- 세종大, UNIST: 세계 201–250위권
- 한양대, 경희대: 세계 251–300위권
- DGIST, GIST, 중앙대, 아주대 등: 세계 350~600위권에 포진
✅ 종합 정리
1. 상위권: 서울대 → KAIST → 연세·성균관대 → POSTECH → 고려대
2. 중상위권: UNIST, 세종대, 한양대, 경희대 등
3. 중위권 이하에도 DGIST, GIST, 중앙대, 아주대 등 다양한 대학이 포함되며, 전공 분야나 연구역량에 따라 평가가 다릅니다.
댓글 영역